생각사람의 집
❑ 중요성(rationale) 허리 통증은 매우 흔한 증상이나, 원인이 다양하고 만성화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. ❑ 원인 1. 척추신경압박 없음 가. 물리적: 요추염좌 나. 비물리적: 종양, 감염, 염증 2. 척추신경압박(방사통증): 추간판탈출, 척추협착증, 골다공증성 압박골절 3. 연관통 ❑ 평가 목표 허리 통증의 유발요인과 척수신경압박 여부를 판단하고 허리 통증을 야기하는 전신 질환을 감별하며,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. ❑ 구체적 성과 1. 병력청취 가. 허리 통증의 특징과 방사통증 유무, 연관통을 확인할 수 있다. 나. 허리 통증의 유발요인(외상 등)을 확인할 수 있다. 다. 허리 통증을 야기하는 전신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. 라. 척추신경압박과 관련된 신..
❑ 중요성(rationale) 관절염증에 의한 관절 통증은 관절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. 단일 혹은 다발성 관절 통증에 따라 원인을 구별하여 치료하는 것은 관절염의 예후에 중요하다. 퇴행골관절염은 운동과 통증 관리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다. ❑ 원인 1. 관절 병변 가. 염증성 1) 단일관절: 감염관절염 등 2) 다발관절: 류마티스관절염 등 나. 비염증성: 골관절염 등 2. 관절 외 병변 가. 전신성: 섬유근통 등 나. 국소성: 근막통증질환 등 ❑ 평가 목표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병력청취와 신체진찰로 관절 통증의 원인을 감별하고 필요한 환자 교육을 시행할 수 있으며, 적절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. ❑ 구체적 성과 1. 병력청취 가...
❑ 중요성(rationale) 체중 증가(비만, 부종 등)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. 체중 증가(비만)는 만성질환으로 심혈관질환, 당뇨병, 암, 관절질환 및 수면무호흡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원인에 따라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. ❑ 원인 1. 에너지 섭취 증가 2. 에너지 소모 감소: 운동부족 3. 신경내분비 이상: 쿠싱증후군 등 4. 유전질환 5. 부종 ❑ 평가 목표 병적 체중 증가를 구별하고, 내분비 질환에 의한 체중 증가(비만)를 감별하며,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. ❑ 구체적 성과 1. 병력청취 가. 체중 증가 양상을 확인하여 부종과 비만을 구별할 수 있다. 나. 에너지 섭취 또는 소모와 관련된 생활습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. 다. 내분비질환 유무를 확인할..
❑ 중요성(rationale) 핍뇨는 심각한 혈량저하, 콩팥질환 또는 방광출구 폐색 등에 의해 발생하며, 콩팥기능 상실을 동반할 수 있어 원인 감별과 즉각적인 치료가 중요하다. ❑ 원인 1. 콩팥 전 원인: 혈량저하 등 2. 콩팥 내 원인: 사구체질환, 신독성 물질 등 3. 콩팥 후 원인: 방광출구폐쇄 등 ❑ 평가 목표 핍뇨의 원인을 콩팥 전, 콩팥 내, 콩팥 후로 구분하고 적절한 응급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. ❑ 구체적 성과 1. 병력청취 가. 핍뇨와 무뇨를 구별할 수 있다. 나. 핍뇨의 특성과 동반증상을 파악하여 원인을 감별할 수 있다. 다. 콩팥 전, 콩팥 내, 콩팥 후 수준별 증상을 감별할 수 있다. 라. 콩팥기능 상실의 위험 요인이나 악화 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. 2. 신체진찰 가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