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각사람의 집

실기 7일 - CPX 2독 1일차 - 7) 가정 폭력 본문

의사국가시험/국시실기 - 주제별

실기 7일 - CPX 2독 1일차 - 7) 가정 폭력

Dr. 생각사람 2016. 9. 20. 20:25


1) Schema: 과감히 버린다


2) 폭력실태 파악


의심이 제일 중요한데, 다른 시점에 발생한 multiple injuries(bruise, fracture, laceration 등)가 발견되는 경우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.


분명히 그냥 넘어진 거라고 할 텐데, 누군가에게 맞은 상처로 보이는데, 기밀이 법적으로 유지되니 안심하고 말해도 된다고 하고 setting을 구성해야 한다. 그 다음부터 (성폭행 상담 때에도 마찬가지지만) 6하원칙을 대략적으로 따르면 된다. 정말 말하기 힘든 상황일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고, 격려하고, 올바른 조치와 처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음을 설명한다.


6W

a. What (이건 폭력)

b. Who

- 어떤 관계에 있는 누구

- 사이는 어떤지

c. When

- T에 해당함

- Duration, course, experience

d. Where

- 주로 어디서?

e. Why

- 왜 이런게 시작되었는지 생각해본 적 있는가?

f. How: 매우 중요함

- 형태: 신체적/정신적(언어적)/성적/경제적/방임적

- 다른 사람한테 폭력이 퍼지진 않는지

- 폭력 이후에 어떻게 대처하는지? 쉼터는 있는지?


3) 이제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할 지 상담을 해야 한다


- 치료 경험은 있는지?

- 우울감/자살사고/살인사고 확인 --> Severity 확인

- 가족 관계 확인

- 직업/경제력 --> 경제적 실태

- 배우자의 성격/부모님의 성격 등

- 도움 받을 곳은 있는가? 청해본 적 있는가?

- 이 문제를 다른 사람과 상의해본 적은 있는가?


4) 대처에 대해

- 폭력 발생 시에는 반드시 112에 신고하도록 교육

- 상해 진단서를 받아두고, 날짜 적어두는 등 증거물 수집

- 경찰에 도움 요청 --> 격리 조치 가능

- 쉼터 이용 --> 정부나 시민단체 등에서 지원해줌

- 가해자/피해자/주변 사람에게 심리상담, 정신과적 치료 등이 가능함을 알림

- 주변에 알리고,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, 신체적 손상 발생 시에 치료받도록 함.


이런 식이면 될 듯.. 워낙에 대처 방법이 다양해져서 다 교육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다....ㅠ

공감대 형성이 평가 항목 중 하나인 만큼 PPI에 신경 쓰자.


참고서적:

Real CPX 제5판, 메딕메디슨 학술국. 

10minutes CPX, 퍼시픽 학술국.

의사국가시험[실기] 평가목표집,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. 2015.

기본진료수행지침, 한국의과대학/의학전문대학원협회. 2015.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