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각사람의 집

심전도 공부 (1) 기초 본문

의사국가시험/심전도

심전도 공부 (1) 기초

Dr. 생각사람 2016. 8. 27. 13:28

참고서적: The Only EKG Book You'll Ever Need(Lippincott & Wilkins), 임상심전도학(서울대출판부)

 

EKG or ECG: Electrocardiogram, 심전도

Impulse 전달경로

 

SA node -> RA ~LA (atrial contraction) -> AV node -> Bundle of His

-> RBB - Septal branch - Left anterior & posterior branch (ventricular contraction)

 

EKG에 영향을 주는 세포

Pacemaker cell (enhanced automaticity에 의한 것은 제외): SA node, AV node

Conducting cell: Bundle of His, Bachman's bundle (얘도 포함되나..), Purkinje system 등

Myocardial cells (enhanced automaticity를 가질 수 있습니다)

(출처: 구글이미지)

 

Wave의 구성 + Interval/segment

P wave: RA ~ LA 순. Atrial contraction

QRS complex: Ventricular contraction

T wave: Ventricular repolarization

 

Atrial depolarization은 묻힘

PR interval: Atrial contraction 시작 ~ Ventricular contraction 시작

PR segment: Atrial contraction 종료 ~ Ventricular contraction 시작

QRS interval: Ventricular contraction 기간

ST segment: Ventricular contraction 종료 ~ Ventricular repolarization 시작

QT interval: Ventricular cycle

 

wave는 주로 3칸(T 제외), PR interval 3칸, QT interval은 대강 11칸 (correction이 필요하긴 하지만)

 

Electrode 기준으로 depolarizing wave가 다가오거나 repolarizing wave가 멀어지면 (+)

 

Lead의 분류 (Limb and precordial)

 

Anterior: V2, V3, V4

Left lateral: I, aVL, V5, V6

Inferior: II, III, aVF

Right ventricular: aVR, V1

 

RV: aVR, V1/ LV: I, aVL, V5, V6

Lead의 부착위치를 생각하면 당연하다.

 

각 wave의 전극에서의 모양

1) P wave: RA component 절반 + LA component 절반

Voltage: <.25mV

Axis: 0 ~ +70 degrees가 정상 범위

Positive deflection: left lateral leads, inferior leads (except lead III)

Perpendicular (-> biphasic): III, V1

Negative deflection: aVR

Anterior leads에서는 variable (axis의 normal variation 때문)

 

2) QRS complex: Ventricular depolarization ( <=> contraction, d/t coupling  - Ca++의 도움)

Voltage: 이후 RVH, LVH 기준에서 보는 편이 낫다

Axis: -30 ~ +90 degrees로 이해하는 편이 좋다. (aVL과 aVF의 부호로 쉽게 판단) 더 쉽게 lead I과 aVF의 부호로 이해해도 좋다.

(보다 엄밀히는 -30 ~ +100 degrees)

Positive deflection: left lateral leads, inferior leads

Perpendicular: variable

Negative deflection: aVR, V1

 

Precordial lead에서 점점 lateral으로 가는 걸 생각하면 R wave progression과 transitional zone의 개념은 자연스럽다.

 

3) T wave: Ventricular repolarization

Voltage: 주관적? Tall R <=> Tall T임. 반드시 병적인 것은 아닙니다.

Axis: variable

"R-on-T" => Active process로 polarization을 유지하려는 도중에 수축 신호가 오면 평형이 깨집니다. 위험합니다. -> VT, TdP 등..

 

4) PR interval: AV node에서 정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 A -> V의 순으로 뛰는 것을 도와줍니다. 5칸 이내가 정상입니다.

 

5) QT interval: ventricular repolarization이 많은 부분을 차지 (depolarization에 비해) : Long QT는 repolarization을 길게 해줘도 얻을 수 있겠네요.

 

이외:

6) Septal Q wave: septum을 수축하게 하는 septal branch의 전기전도에 의해 발생합니다. left to right direction

7) ST segment: refractory period를 의미?

8) QRS interval: 1.5칸~2.5칸 (0.06~0.10 sec)

 

EKG 판독 순서

책마다 조금씩은 다르더라구요. 이건 리핀코트 책 기준입니다.

0) standardization

1) HR(rate)

2) Interval

3) Axis: P, QRS(, T)

4) P wave의 morphology?

5) QRS wave의 morphology? (wide vs. narrow)

6) P ~ QRS가 1-1?

7) Rhythm은 regular?

8) Conduction block: AV block, BBB, hemiblock

9) Enlargement or hypertrophy

10) CAD

11) 이외


다음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.

Comments